
- 제목
- 망치수지 (추지, mallet finger)
- 등록일
- 2015.01.28
- 조회수
- 8528
- 카테고리
- null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농구선수 출신 허재의 새끼 손가락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끊어진 힘줄로 인해 마지막 마디가 구부러진 채 펴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에는 신전건과 굴곡건이 붙어 있고 이들의 작용으로 손가락을 굽히거나 필 수 있게 됩니다.이 때 신전건이 역할을 하지 못해 굽히는 힘만 작용하고 펴지지 않는 것이 망치수지(추지)입니다. 여기서 신전건은 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될까요? 끈을 어느 물체에 묶어 놓고 강하게 잡아 당겨보면 끈이 끊어지거나 아니면 물체의 일부를 물고 떨어지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처럼 손가락 끝마디가 갑자기 굽혀지는 충격을 받으면 신전건이 중간에 끊어지거나(건성추지) 부착되는 뼈부분을 물고 떨어지게 되는데(골성추지) 이로 인해 손 끝이 펴지지 않는 망치수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망치수지는 다친 경위와 증상을 바탕으로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X-ray 검사가 필요하며 골절편이 보이지 않는 건성추지인지 골절이 동반된 골성추지인지 감별이 필요합니다.힘줄만 손상된 건성추지인 경우 보통 손가락 끝관절을 과신전시킨 상태로 부목고정하여 약 8~12주간 유지하는 것으로 치료합니다. 끊어진 힘줄끼리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붙도록 하는 것입니다. 2달이 넘게 부목을 풀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기 쉬우며 유지가 어려울 경우 수술적으로 핀고정을 하여 유지를 도와주기도 합니다. 골절이 동반된 경우 대부분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끊어진 부분을 직접 봉합하지 않고 K-강선을 이용하여 골절된 부위를 고정하고 관절도 고정한 상태로 약 8주간 강선을 유지하게 됩니다. 망치수지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는다면 손가락의 끝마디는 굽혀지고 중간마디는 과신전 되는 ‘백조목 변형’이 오게 됩니다. 이러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손가락에 충격을 받았는데 마지막 마디가 펴지지 않는다’고 한다면 망치수지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반드시 수부 전문의의 진찰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광명성애병원 성형외과 이경진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