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내 머릿 속의 시한 폭탄
- 등록일
- 2015.07.13
- 조회수
- 7968
- 카테고리
- 성애병원
뇌동맥류의 진단과 치료
수년 전 한 때 큰 인기를 끌었던 탤런트 안재욱씨가 뇌출혈로 쓰러졌다는 기사를 접하였습니다. 그는 아직 젊었고 비만하지도 않았으며 얼마 전까지 중국 및 국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던 터라 그 소식이 의아하여 기사를 자세히 읽어 보니 그 진단은 단순히 뇌출혈이 아닌 꽈리 동맥 즉,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출혈로 아주 큰 수술을 받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뇌출혈이라 생각하면 나이가 많거나 혈압이 있는 사람에게서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뇌동맥류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뇌동맥류는 터지기 전에는 증상이 전혀 없어 알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 후에는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회복 후에도 신경학적 결함을 보일 수가 있기 때문에 미리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뇌동맥류란?
혈관벽의 손상이나 혈관을 이루는 막의 결손으로 발생하는 뇌 동맥의 기형이며 인구의 1%에서 발견되며 여자에게서 많이 발생됩니다.
2. 뇌동맥류는 유전이 되는가?
뇌동맥류는 가족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하는 사람에게 더 잘 발생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뇌동맥류의 가족력이 있으면 후손들에게 검사를 받아 볼 것을 권유합니다.
3. 뇌동맥류 증상 및 징후
뇌동맥류는 터지기 전에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3%) 이외에 90% 정도는 파열된 후 발생하는 뇌지주막하출혈로 7%에는 뇌동맥류가 커서 발생하는 뇌신경이나 뇌조직을 압박하여 생기는 증상(7%) 등이 있습니다.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뇌지주막하 출혈이 발생되면 머리를 꽝 치는 듯한 느낌과 함께 생애에서 가장 심한 두통을 경험하게 되면 약 45%에서는 5-10분 정도 정신을 잃기도 하는데 이는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갑자기 뇌압이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뇌혈류가 중지되기 때문입니다. 또 약 15%정도는 출혈이 심하여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심한 출혈 전에 기분 나쁜 정도의 경고 두통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20%가량 있기 때문에 평소에 두통이 없었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뇌동맥류는 언제 터지는가?
동맥류는 기온이 찬 겨울이나 계절이 바뀌는 3월과 9월에 파열되는 예가 많습니다. 특히 대소변 볼 때, 무거운 것을 들거나 몸을 굽힐 때, 흥분 시, 성교 시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혈압을 올리는 행위를 할 때나 수면 중에도 꿈을 꿀 때와 같이 뇌혈류가 증가하는 시기에 뇌동맥류가 파열될 수 있습니다.
5. 뇌동맥류는 어떻게 진단할 수 있는가?
뇌동맥류는 터지기 전에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은 뇌전산화단층 혈관조영술 (CTA: computed tomograpgic angiograpy) 나 뇌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술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등으로 조기 발견할 수 있으며 진단 후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정확한 위치, 형태, 크기 등을 계산하여 추후 치료 방법 결정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일단 뇌동맥류가 터졌을 경우 가장 빨리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은 뇌전산화단층촬영 즉, 뇌 CT 촬영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임상적으로 의심되었을 경우에는 요추천자를 하여 진단하기도 합니다.
6. 뇌동맥류의 치료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머리를 여는 개두술 후 동맥류를 결찰하는 방법 및 혈관내 수술방법으로 뇌동맥류를 차단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터지기 전에 발견된 뇌동맥류는 비교적 혈관내 수술방법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 급속히 발달한 방법으로 동맥류 내에 백금 코일을 채워 치료하는 방법으로 회복과정이 빠르며 머리를 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치료의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다음글
- 금연 치료